반응형
김연경 감독의 배구 예능을 보기 전에 미들블로커(Middle Blocker) 포지션을 알고 있으면, 공격과 수비의 핵심 포인트가 훨씬 쉽게 눈에 들어와요. 미들블로커는 어떻게 경기에서 활약하는지, 공격과 수비에서 무엇이 다르고, 블로킹 규칙은 또 어떤지 쉽게 풀어볼게요.

미들블로커의 주요 역할
배구에서 미들블로커는 네트 중앙을 지키면서 상대의 강력한 공격을 1차로 막는 역할을 담당해요.
- 주로 '센터'라고 불리던 포지션이고, 2명의 미들블로커가 팀에 있어요.
- 전위에 있을 때는 전위 중앙(3번 위치)에서 '블로킹 대장'처럼 블로킹 타이밍을 잡고, 후위로 내려가면 공수비(서브리시브, 디그)에서는 리베로와 교체돼 쉬는 시간이 많아요.
반응형

공격과 수비에서 미들블로커의 차별화 포인트
- 공격:
- 세터가 주는 빠른 토스(A퀵, B퀵 등)에 맞춰 중앙에서 '속공'을 날리는 게 주특기예요.
- 속공뿐 아니라 타이밍을 뺏는 시간차 공격, 이동공격도 구사해서 상대팀 블로커를 속이는 역할을 해요.
- 미들블로커가 중앙에 위협적으로 움직이면, 상대 팀 세트 플레이가 흐트러지고 우리 팀 공격 성공 확률이 높아져요.
- 수비:
- 네트 바로 앞에서 상대팀 공격수를 1차로 차단하는 게 가장 중요한 임무예요.
- 상대의 주 공격 코스, 손목 각도, 그리고 세터의 토스 방향까지 읽고 그에 맞춰 순간적으로 점프해서 블로킹 타이밍을 맞춥니다.
- 미들블로커가 네트 양 옆(레프트, 라이트)의 블로킹 도움까지 적극적으로 가야 하니 민첩하고 순발력이 뛰어난 선수가 많답니다.
728x90

미들블로커의 블로킹 규칙 한눈에 보기
블로킹은 미들블로커의 전유물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고, 몇 가지 엄격한 규칙이 적용돼요:
- 블로킹은 '상대의 공격'을 막는 동작이어야 하고, 세터의 토스나 상대 리시브 볼을 블로킹하듯 건드리면 반칙(오버네트) 판정입니다.
- 서비스(서브)는 블로킹 금지, 즉 상대팀이 서브하는 공은 막을 수 없어요.
- 블로킹에 손이 상대한테 넘어가도 공격 타구 중엔 허용되지만, 연속적으로 상대 코트에 손을 집어넣고 건드리면(오버네트) 역시 반칙이에요.
- 블로킹에 한 번 손 대는 건 팀의 3회 공격 횟수(터치)에 포함되지 않아, 블로킹 후 바로 또 터치해도 괜찮아요.
- 리베로는 블로킹 참여·시도 자체가 금지지만, 미들블로커는 전위일 때 언제든 블로킹을 해야 해요.
결론 – 미들블로커를 알면 배구 경기가 더 잘 보인다!
미들블로커는 중앙에서 펼쳐지는 '공수 싸움의 핵심'입니다. 공격에선 스피드와 기습, 수비에선 센스와 수비 집단지성의 리더 역할을 해요. 방송에서 미들블로커가 네트 앞에서 어떻게 움직이고, 어떤 순간에 블로킹을 시도하는지 자연스럽게 눈이 간다면, 배구의 깊은 매력을 200% 느낄 수 있어요.
반응형
'예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피지컬: 아시아 2화 – 영토 점령전 본 무대, 극한 리매치와 반전의 결과 (0) | 2025.11.01 |
|---|---|
| 피지컬: 아시아 1화 넷플릭스 오리지널 – 8개국의 강자들 소개, 영토 점령전 (0) | 2025.11.01 |
| 신인감독 김연경 - OP 아포짓스파이커란? 역할 포지션 차이 규칙 알아보기 (0) | 2025.11.01 |
| "신인감독 김연경" 여자배구 로테이션 규칙 리베로·서브에이스 알아보기 (0) | 2025.11.01 |
| 우리들의 발라드 - 김윤이의 ‘1월부터 6월까지’(015B), 본선 2라운드 다시 보기 무료 듣기 (0) | 2025.10.29 |